국민주택채권 종류부터 양도세 절세 팁까지, 집 마련 필수 꿀팁 대방출!

국민주택채권이 뭐고, 종류는 어떻게 될까?


‘국민주택채권’이라고 적힌 서류와 집 모형, 돈이 함께 있는 일러스트
국민주택채권 서류와 주택, 돈이 함께


국민주택채권
은 집을 사서 등기를 할 때 꼭 사야 하는 특별한 채권이에요.
이 채권을 왜 사야 하냐면,
정부가 국민들에게 더 많은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돈이 필요해서, 우리에게 이 채권을 사도록 하는 거죠.


국민주택채권의 종류는 뭘까?

사실 예전에는 1종, 2종 이렇게 두 가지가 있었지만,
지금은 거의 2종(Ⅱ종)만 사용돼요.

  • 1종: 예전 방식, 지금은 거의 쓰지 않음.
  • 2종(Ⅱ종): 지금 우리가 사야 하는 채권! 만기가 5년이고, 할인해서 싸게 산 뒤 5년 뒤 원금을 받는 방식이에요.
그래서, 등기소나 은행에서 “국민주택채권 사세요!” 하면, 거의 대부분 2종 할인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국민주택채권은 어떻게 사는 걸까?

100만 원 채권을 82만 원에 매입하는 국민주택채권 할인 구조 설명 그림
100만 원짜리 채권을 82만 원에 사고,
5년 후 100만 원을 돌려받는 구조를 한눈에 보여주는 도식

집을 사서 등기할 때, 은행에 가서 국민주택채권을 매입(구입)하게 돼요.

예를 들어, 액면가가 100만 원인 채권을 은행에서는 82만 원에 살 수 있어요.
이렇게 싸게 사는 걸 할인매입이라고 해요.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5년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은행이나 증권사에서 ‘할인매도’해서 현금으로 바꿔요.


국민주택채권을 샀을 때, 나중에 집을 팔면 세금계산에 도움이 될까?

국민주택채권 매입비용이 양도소득세 필요경비로 인정되는 과정
국민주택채권 매입비용이 양도소득세 필요경비로 인정되는 과정


여기서 중요한 질문!

내가 집을 살 때 국민주택채권을 샀다면,
나중에 집을 팔 때 양도소득세 계산시 이 돈을 비용(필요경비)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정답은 YES!

국민주택채권을 사는데 실제로 쓴 돈(실제 매입가, 즉 82만 원)을 나중에 집을 팔 때 양도세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비용으로 넣을 수 있어요.

즉, 집을 살 때 들어간 실제 비용(국민주택채권 매입가)은 양도세 계산할 때 빼주는 비용이 되는 거죠.



꼭 기억하세요!

은행에서 받은 국민주택채권 매입 영수증을 잘 보관해야 나중에 증빙이 가능해요.

국민주택채권 영수증을 손에 들고 보관하는 모습
국민주택채권 영수증은 꼭 보관


정리

  • 국민주택채권은 거의 2종(Ⅱ종)만 있음.
  • 집을 살 때 은행에서 할인해서 구입.
  • 실제로 쓴 돈(매입가)은 나중에 집 팔 때 양도 소득세 계산시 비용에 넣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