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틱(prompt + programmatic)’이란 단어 자체는
“프롬프트를 코드처럼 논리적, 반복 가능하게 설계한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일반적으로는 AI 모델이 일관되게 정해진 방식으로 응답하도록 만드는 고급형 프롬프트를 뜻하죠.
✅ 일반 프롬프트 vs 프로그래머틱 프롬프트
구분 | 일반 프롬프트 | 프로그래머틱 프롬프트 |
---|---|---|
목적 | 자연스러운 대화 | 구조적·반복적 응답 생성 |
예시 | “이 내용 요약해줘.” | “아래 글을 3줄 요약하고, 핵심 키워드를 5개 뽑고, JSON으로 정리해줘.” |
특징 | 자유롭고 유연함 | 정해진 출력 형식, 반복 처리, 논리적 흐름 요구 |
사용처 | 챗봇, 일상 질의 | 업무 자동화, API 응답 구조, 정형 콘텐츠 생성 |
✅ 예시 1: 콘텐츠 검증용 프로그래머틱 프롬프트
“아래 내용이 사실인지 판단해줘.
사실일 경우 ‘TRUE’, 거짓일 경우 ‘FALSE’로 응답하고, 근거를 함께 제시해줘.
형식:
{
"result": "TRUE",
"evidence": "출처: openai.com/press/..."
}
→ 이렇게 구성하면 정형화된 응답을 반복적으로 받을 수 있어 자동화에 유리합니다.
✅ 예시 2: LLM 정확도 향상용 프로그래머틱 프롬프트
“다음 문장을 분석해서 주제, 긍정/부정, 핵심 키워드를 각각 1개씩 도출해줘.
출력은 아래 형식으로:
{
"sentiment": "negative",
"topic": "data privacy",
"keyword": "GDPR"
}
✅ 예시 3: 블로그 요약 & SEO 키워드 추출용 프로그래머틱 프롬프트
아래 블로그 글을 3줄로 요약해줘. 그리고 추출할 수 있는 주요 키워드를 5개 뽑아줘.
결과는 다음 JSON 형식으로 출력해줘:
{
결과는 다음 JSON 형식으로 출력해줘:
{
"summary": "요약 내용",
"keywords": ["키워드1", "키워드2","키워드3","키워드4","키워드5"]
}
✅ 예시 4: 이메일 자동 응답 초안 생성기용 프로그래머틱 프롬프트
아래 고객 문의 내용을 분석해서, 고객 서비스 응답 메일 초안을 작성해줘.
응답은 고객 친화적이며, 필요한 안내 문구를 포함해줘.
출력 형식:
{
응답은 고객 친화적이며, 필요한 안내 문구를 포함해줘.
출력 형식:
{
Subject: 이메일 제목
Body:
본문 내용(3~5문장)
}
본문 내용(3~5문장)
}
이런 방식은 AI를 단순 대화가 아니라 “프로그래머블한 도구”로 쓰는 핵심 전략입니다.
✅ 요약
프로그래머틱 프롬프트란?
GPT나 LLM에게 명확한 역할, 출력 조건, 형식, 로직을 설계해서 주는 고급 지시문입니다.
반복 작업, 정보 추출, 구조화 응답, 자동화 시스템에 특히 유용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