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 연기에는 무려 7 000여 종의 화학물질이 들어 있으며, 이 가운데 250종 이상이 독성·발암물질입니다. 흡연은 폐뿐 아니라 거의 모든 장기를 손상시키고, 매년 800 만 명(이 중 130 만 명은 간접흡연) 이상의 생명을 앗아갑니다.
1. 호흡기계
- 폐암‧COPD(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주요 원인.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폐암 위험이 최대 22배, COPD 사망 위험은 수십 배 높습니다.
- 기도 점막의 만성 염증으로 기침·가래·호흡곤란이 지속됩니다.
2. 심‧뇌혈관계
- 니코틴과 일산화탄소가 혈관을 수축시키고 산소 운반을 방해해 관상동맥질환·뇌졸중 위험을 2~4배 높입니다.
- 간접흡연만으로도 주변인의 심장병·뇌졸중 위험이 25~30 % 상승합니다.
3. 대사·내분비계
- 흡연자는 제2형 당뇨병 발생률이 높습니다. 담배 성분이 인슐린 작용을 방해하고 만성 염증을 유발합니다.
4. 면역·감염 위험
- 흡연이 면역세포 기능을 억제해 결핵·독감·폐렴 등 감염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5. 소화기계
- 위·십이지장 궤양, 크론병, 위·식도·대장암 위험이 상승하고, 복통·설사·출혈 같은 증상이 만성화될 수 있습니다.
6. 뇌·신경계
- 흡연은 뇌혈류 저하·혈관 손상을 통해 치매 및 인지 기능 저하 위험요인이 됩니다.
7. 생식·임신
- 남성은 정자 수·운동성이 감소하고, 여성은 난임·조기 폐경 위험이 증가합니다.
- 임신 중 흡연·간접흡연은 유산‧사산‧태아 성장지연·신생아 돌연사 증후군(SIDS) 위험을 높입니다.
8. 기타 손상
- 잇몸병·치아 탈락, 백내장·황반변성, 피부 주름·조기 노화, 골다공증 등도 흡연과 밀접하게 연관됩니다.
간접흡연: ‘조용한 살인자’
연기가 옅다고 안전하지는 않습니다. 실내 간접흡연만으로도 매년 130 만 명이 목숨을 잃고, 특히 어린이는 폐렴·중이염·천식 발작 위험이 크게 높아집니다.
새 담배? 덜 해롭지 않습니다
가열담배(HTP)·전자담배(ENDS) 역시 새로운 독성물질을 포함하며 심·폐 손상을 유발한다는 연구가 계속 발표되고 있습니다. ‘저위험’이라는 주장은 아직 과학적 근거가 부족합니다.
금연이 주는 ‘즉시-그리고-평생’ 혜택
금연 후 경과 시간 | 우리 몸의 회복 |
---|---|
20 분 | 혈압·맥박 정상화 |
12 시간 | 혈중 일산화탄소 정상화 |
2주 ~ 3개월 | 폐 기능·혈액순환 개선 |
1 년 | 관상동맥질환 위험 50 % 감소 |
5 년 | 뇌졸중 위험 비흡연자 수준 근접 |
10 년 | 폐암 사망 위험 50 % 감소 |
15 년 | 심장병 위험 비흡연자 수준 |
결론
흡연은 수명을 평균 10년 단축하며, 신체 거의 모든 기관과 삶의 질을 파괴합니다. “하루 한 갑쯤은 괜찮다”는 믿음은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습니다. 금연은 언제 시작하든 건강 회복과 조기사망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선택입니다.
오늘, 담배를 끄고 새로운 호흡을 시작하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