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부터 연금보험료 오른다? 누가, 얼마나 더 내야 할까?
안녕하세요 😊
오늘은 2024년 7월부터 바뀌는 국민연금 보험료 관련 소식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매달 빠져나가는 연금 보험료, 소득이 많아질수록 부담도 커지죠?
그런데 이번 7월부터는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이거나 이하인 분들만 보험료가 오르게 됩니다.
✔️ 얼마나 오르나요?
구분 | 2024년 6월까지 | 2024년 7월부터 | 얼마나 오르나요? |
---|---|---|---|
기준소득월액 상한 | 617만 원 | 637만 원 | + 20만 원 (+3.3%) |
기준소득월액 하한 | 39만 원 | 40만 원 | + 1만 원 (+2.6%) |
👛 누구에게 영향이 있을까요?
- 월 소득 637만 원 초과자: 보험료 57만 3,300원 → 18,000원 증가 (직장인 본인 부담은 9,000원 증가)
- 월 소득 40만 원 이하자: 보험료 36,000원 → 900원 증가 (직장인 본인 부담은 450원)
- 40만 원~637만 원 구간: 변동 없음!
🧾 적용 대상은 누구?
- 직장가입자 – 적용됨 (회사와 본인이 절반씩)
- 지역가입자 – 적용됨 (전액 본인 부담)
- 임의·임의계속가입자 – 선택 금액이 상·하한 내라면 자동 조정
- 공무원·사학연금 등 – 해당 없음
🤔 왜 매년 7월에 조정될까요?
최근 3년간 평균소득 증가율을 반영해 기준소득월액의 상·하한선을 자동 조정합니다.
이 구조는 물가와 임금 변화에 맞춰 연금보험료와 수급액이 균형을 이루도록 설계된 거예요.
❗ 이건 보험료율 인상이 아니에요!
보험료율(9%)은 그대로이며, 적용되는 소득 기준만 바뀐 것입니다.
2030년 이후 보험료율 인상 논의는 있지만, 이번 조정은 정례 절차랍니다.
✅ 기억할 포인트 한 줄 요약
“7월부터 월 소득이 40만 원 미만 또는 637만 원 초과인 사람만 보험료가 소폭 인상된다.”
내가 해당되는지 궁금하다면?
국민연금공단 1355(유료, 평일 09 ~ 18시)로 문의해보세요.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