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5일부터 유튜브 수익화 정책 대변경!
— AI 영상 ‘비정품 콘텐츠’ 정책 완전 정리
“AI로 영상 한두 개 뚝딱 만들어 올려도 수익 나올까?”
예전엔 그럴 수도 있었지만, 이제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2025년 7월 15일부터 유튜브는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YPP)’ 수익화 기준을 대폭 개편했습니다.
기존의 ‘Repetitious Content(반복 콘텐츠)’ 조항을 새롭게 ‘Inauthentic Content(비정품 콘텐츠)’로 바꾸고, AI 생성 영상·템플릿 기반 대량 영상에 대해 강력한 제재에 나선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튜브 정책 변화의 핵심 내용을 쉽고, 자세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유튜브 영상으로 수익화를 하시려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래요.
핵심 요약: 꼭 알아야 할 3가지 포인트
- 반복 콘텐츠 → 비정품 콘텐츠로 명칭과 기준이 변경되었습니다.
텍스트 투 비디오(TTV), TTS 음성 낭독, 스톡 영상 짜깁기 등 사람의 개입이 거의 없는 대량 생성 영상은 수익화가 원천적으로 차단됩니다. - 직접 해설·편집·의견 추가가 있으면 여전히 수익화 가능합니다.
리액션 영상, 비평, 해설형 콘텐츠는 본인의 목소리나 설명, 자막, 화면 구성 등 사람의 개입이 명확히 드러날 경우 허용됩니다. - 위반 시에는 노란 달러 → YPP 퇴출 → 계정 정지로 이어지는 단계별 강력 조치가 적용됩니다.
단순히 특정 영상만의 문제가 아니라 채널 전체가 수익화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왜 이런 변화가 생겼을까? — AI 콘텐츠 범람의 부작용
2023년 11월 챗GPT라는 생성형 AI의 출현은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을 바꾸고 있습니다.
그와 더불어 2024년부터 2025년 사이, AI를 활용한 영상 생성 기술도 빠르게 발전했습니다.
이에 따라, 뉴스 기사 낭독 영상, TTS 슬라이드 영상, 명언 복붙 콘텐츠 등 사람의 손이 거의 닿지 않은 AI 영상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영상은:
- 시청자들의 이탈률을 높이고
- 콘텐츠 품질 하락
- 광고주의 브랜드 신뢰 하락으로 이어졌습니다.
유튜브는 이를 ‘저품질 AI 콘텐츠(Slop)’라 지칭하며, 수익화 기준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조정했습니다.
‘Inauthentic Content(비정품 콘텐츠)’란?
유튜브는 “사람의 창의성과 가치를 거의 담지 않은, 반복적이고 기계적인 콘텐츠”를 ‘비정품 콘텐츠’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금지 및 허용 사례를 정리한 표입니다.
❌ 제한·금지되는 콘텐츠 | ✅ 허용되는 콘텐츠 (단, ‘가치 추가’ 필수) |
---|---|
뉴스 기사·블로그 글을 TTS로 그대로 낭독 | 기사 낭독 + 본인 해설 + 시각 자료 |
템플릿 슬라이드쇼 (이미지 복붙) | 슬라이드 + 직접 녹음한 설명 + 편집 요소 |
명언 영상 100개를 자막·음성만 바꿔서 자동 생성 | 명언 + 창의적 해석 + 본인 경험 스토리 |
📌 참고: 키워드만 바꿔 자동 생성된 Shorts 콘텐츠도 모두 ‘비정품’으로 간주됩니다.
이제 AI를 이용해 자동 생성한 영상으로는 수익화하는 게 불가능하게 된 것 같습니다.
정책 전문에 담긴 핵심 문장 해석
“Mass-produced or repetitive content…
may remove monetization from your entire channel.”
— YouTube Help 문서 중
Mass-produced(대량 생성)과 Entire channel(채널 전체)라는 표현에 주목해야 합니다.
단순히 몇 편의 영상이 아니라, 유사한 구조로 반복 제작된 콘텐츠가 많을 경우 채널 전체가 수익화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위반 시 제재는 이렇게 진행됩니다
위반 단계 | 유튜브 조치 | 설명 |
---|---|---|
1차 경고 | 노란 달러 (광고 제한 또는 없음) | 문제 영상은 편집 후 재검토 신청 가능 |
반복 위반 | YPP 퇴출 (수익화 전면 차단) | 30일 후 재신청 가능, 그러나 문제 콘텐츠 정리 필수 |
악의적 위반 | 채널 삭제·계정 정지 | 명백한 딥페이크, 사기성 콘텐츠 등은 즉시 정지될 수 있음 |
크리에이터를 위한 체크리스트 🔍
- ✅ 내 영상 중 10개만 추려 다른 채널과 차별점이 있는지 점검해보세요.
- ✅ AI 음성이나 텍스트 영상이라면, 내 목소리, 해설, 편집으로 충분한 ‘사람의 개입’을 보여주세요.
- ✅ 합성 장면이나 AI 사용 내용은 영상 설명란에 투명하게 명시하세요.
- ✅ 구독자와 조회수가 떨어져도 업로드 빈도보다 콘텐츠 품질을 우선하세요.
- ✅ 과거 자동 생성 영상이 많다면, 비공개 전환 또는 삭제로 리스크를 줄이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질문 | 답변 |
---|---|
리액션 채널도 수익화 안 되나요? | 아닙니다. 원본 영상 위에 본인의 해설, 자막, 편집이 들어가면 ‘비정품 콘텐츠’가 아닙니다. |
AI 음성 더빙만 바꾸면 수익화 되나요? | 아닙니다. 음성만 바꾸고 내용이 동일하면 여전히 비정품으로 분류됩니다. |
경고 없이 바로 채널이 삭제될 수도 있나요? | 일반적으로는 단계적 조치(노란 달러 → YPP 퇴출)가 적용되지만, 딥페이크나 사기 콘텐츠는 예외적으로 즉시 정지될 수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AI는 ‘도구’일 뿐, 주체는 사람입니다
AI 도구는 훌륭한 보조수단이 될 수 있지만,
사람의 목소리와 판단, 가치가 들어가지 않으면 수익화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유튜브는 “사람이 만든, 사람을 위한 콘텐츠”를 추구합니다.
AI 영상이라도 자신만의 이야기, 시선, 해석이 담긴 콘텐츠라면 여전히 환영받을 수 있습니다.
AI는 ‘제작의 도구’일 뿐, 콘텐츠의 주인은 크리에이터인 여러분 자신임을 잊지 마세요.
📌 참고 자료
• YouTube Help – Monetization Policies
• TechCrunch – AI 영상 규제 관련 기사
• Indiatimes – 정책 업데이트 요약
• Social Media Today – 유튜브 정책 변경 해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