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대한민국은 진보 정권
— 진보·보수 언론 구분과 흔들리지 않는 사고법
2025년 7월 현재, 대한민국의 여당은 더불어민주당, 대통령은 이재명입니다.
즉, 현재 대한민국은 진보 정당이 집권 중인 시기입니다.
야당은 국민의힘으로, 전통적인 보수 정당이죠.
그렇다면 정권이 진보이기 때문에 모든 언론이 진보적일까요?
아니면, 보수 매체는 어떻게 존재할까요?
오늘은
① 대한민국 주요 언론의 진보·보수 성향 매체를 정리하고,
② 그 속에서 올바른 판단을 위한 사고법 7가지를 소개합니다.
🟦 진보 성향 매체 (현재 여당과 성향 유사)
구분 | 매체 |
---|---|
신문·온라인 | 한겨레, 경향신문, 오마이뉴스, 프레시안, 미디어오늘 |
방송·케이블 | MBC, JTBC, YTN(약간 진보), CBS 노컷뉴스 |
📌 특징
- 복지, 인권, 노동권 등 진보 의제를 강조
- 정부 정책에 우호적이거나, 개혁 방향에서 비판적 지지
- 탐사보도 및 시민사회 중심 보도 비중이 큼
🟥 보수 성향 매체 (현재 야당과 성향 유사)
구분 | 매체 |
---|---|
신문·온라인 |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국민일보, 한국경제, 매일경제 |
방송·케이블 | TV조선, 채널A, MBN |
📌 특징
- 자유시장경제, 안보 중심 가치 강조
- 야당(국민의힘) 입장에서 정부 정책 비판에 적극적
- 보수층 여론 형성에 큰 영향력을 미침
⚖️ 진보가 옳고 보수가 틀리다? 반대일까?
그건 정답이 없어요.
뉴스는 해석입니다.
같은 사건도 어떤 매체를 통해 접하느냐에 따라 감정과 판단이 달라질 수 있어요.
그래서 더 중요해지는 건
“나는 어떤 사고로 뉴스를 보고 있는가?”
라는 점이에요.
🧠 언론에 휘둘리지 않기 위한 7가지 뉴스 사고법
번호 | 사고법 | 실천 팁 |
---|---|---|
1 | 다양한 성향 교차 구독 | 진보 매체(경향, 한겨레)와 보수 매체(조선, 중앙)를 함께 읽기. 하루에 2개만 비교해도 사고가 넓어져요. |
2 | 팩트와 해석 분리 | 기사 내용을 색깔펜으로 나눠보세요. 사실(숫자, 날짜)과 해석(형용사, 감정 표현)을 구분해서 읽는 훈련입니다. |
3 | SIFT 원칙으로 검증하기 | Stop → Investigate source → Find better coverage → Trace to origin. SNS로 퍼지는 기사는 이 10초 체크 필수! |
4 | 팩트체크 사이트 활용 | 팩트체크넷, 뉴스톱 같은 플랫폼을 자주 들어가 보세요. 정치·과학·경제 뉴스의 사실 여부 확인에 유용해요. |
5 | 숫자 문해력 키우기 | 기사 속 통계 수치를 엑셀로 정리해 보면 '프레임'이 보입니다. 원자료 출처도 습관처럼 따라가 보세요. |
6 | 느린 뉴스 채널 구독 | 뉴스타파, KBS 데이터룸, BBC Reel 같은 분석 중심 채널은 감정보다 구조적 이해를 도와줍니다. |
7 | 스스로에게 질문하기 | “내가 이 기사에 감정적으로 반응했나?” “반대 입장은 뭐라고 말할까?”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습관이 중요해요. |
💬 마무리하며
우리는 하루에도 수많은 뉴스와 주장을 접합니다.
하지만 정보의 홍수 속에서도 나를 지키는 건 ‘생각하는 습관’이에요.
뉴스 한 편을 읽더라도
‘누가 말했는가’보다 ‘무엇을 말했는가’
‘어떻게 말했는가’보다 ‘왜 그렇게 말했는가’
를 질문하는 힘을 길러보세요.
그렇게 나만의 시선을 가진 사람은,
진보든 보수든 흔들리지 않는 사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