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투자, 무엇이 가장 효율적일까?
“금은 그냥 골드바 사서 보관하는 거 아닌가요?”
요즘은 훨씬 선택지가 많습니다.
실물, 금 통장(골드뱅킹), ETF/ETN, KRX 금시장(거래소 금 현물), 금 관련 주식, 디지털 골드 토큰까지.
이 글에서는 각각의 구조·비용·세금 차이를 현실적으로 풀고,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고릅니다.
1 금 투자 방법 한눈에 보기
① 실물 금(골드바/코인)
- 핵심: 직접 보유(심리적 안전), 위기 시 가치 저장.
- 비용: 부가세 10% + 세공·마진 등 스프레드 부담.
- 유의: 보관/도난 리스크, 매매 스프레드 큼.
② 금 통장(골드뱅킹)
- 핵심: 0.01g 등 소액/적립식 매수·매도.
- 세금: 매매차익 15.4% 과세(배당소득세+지방세 원천징수).
- 비용: 은행별 스프레드·수수료 존재.
③ 금 ETF/ETN
- 국내 금 ETF(선물형): 매매차익 및 분배금 15.4% 과세 (보유기간 과세).
- 해외 금 ETF(GLD/IAU 등): 매매차익 양도세 22% (연 250만원 공제 후).
- 비용: 운용보수 + 선물 롤오버 비용 가능.
- 금 선물·옵션은 시장 경험과 지식이 필요하고 손실 위험 높음.
④ 금 관련 주식(금광·정련 기업)
- 핵심: 금 가격 영향 + 기업 실적/운영 리스크.
- 특징: 금값 상승시 기업 실적과 주가 동반 상승의 장점이 있지만, 금 가격 외에도 기업 경영, 산업 리스크의 단점도 존재.
⑤ 디지털 골드 토큰(PAXG, XAUT 등)
- 장점: 블록체인 기반 보관/이체 편리.
- 유의: 규제·과세 불확실, 거래소/커스터디 리스크.
⑥ KRX 금시장(한국거래소 ‘금 현물’ 시장)
- 거래 단위: 1g 단위로 주식처럼 매매.
- 세금: 장내 매매는 부가세 면제 + 매매차익 비과세.
- 실물 인출: 100g/1kg 단위, 인출 시에만 부가세 10% + 인출 수수료(개당 약 2만원).
- 보관: 한국예탁결제원 보관(분실/도난 리스크 없음).
이 방법은 전문가가 운용하는 방식으로 적립식·거치식 투자가 가능하며, 펀드에 따라 금 관련 기업, ETF, 현물 등 다양한 자산을 구성함.
2 왜 KRX 금시장이 효율적일까?
- 세금 구조 유리 → 장내 매매는 비과세, VAT 면제. 실물 인출 시에만 VAT 10%.
- 가격 투명 → 국제 금 시세(USD/oz) 연동, 세공·디자인 프리미엄 無.
- 안전 보관 → 예탁결제원 보관으로 물리적 위험 최소화.
- 낮은 거래비용 → 증권사 온라인 수수료 경쟁(프로모션 시 0.1% 내외 사례).
3 KRX 금시장 이용 방법(체크리스트)
① 증권사 선택 & 계좌 개설 — KRX 금 현물 거래 가능 계좌 개설. 온라인 수수료 이벤트 비교.② MTS/HTS 접속 — ‘KRX 금시장’ 메뉴에서 KRW/1g 호가/호가창 확인.
③ 매수/매도 — 원하는 수량(그램) 입력 → 체결.
④ 실물 인출(선택) — 100g 또는 1kg 단위. 인출 시 VAT 10% + 인출 수수료 부과.
⑤ 운용 팁 — 적립식 분할매수, 자산 대비 목표 비중(예: 5~10%) 설정.
4 금 통장·ETF와의 현실 비교
항목 | KRX 금시장(장내 현물) | 금 통장(골드뱅킹) | 금 ETF(국내 선물형) |
---|---|---|---|
최소 단위 | 1g | 0.01g | 1주 |
세금(매매차익) | 비과세 | 15.4% 원천징수 | 15.4% 과세 (보유기간 과세) |
부가세 | 장내 매매 면제, 실물 인출 시 10% | 없음 | 없음 |
기타 비용 | 증권사 수수료(낮은 편), 인출 수수료(개당 약 2만원) | 은행 수수료·스프레드 | 운용보수 + 선물 롤오버 비용 가능 |
보관/안전 | 예탁결제원 보관 | 은행 전산상 적립 | 실물 보유 아님(파생) |
5 상황별 추천 가이드
- 장기·효율 중시(세금/수수료 최소) → KRX 금시장 70~100% 중심.
필요 시 국내 금 ETF 0~30%로 유동성 보완. - 소액·자동 적립 → 금 통장으로 간편 적립(세금/스프레드 비용 인지).
- 실물 보유 욕구 → KRX 금시장서 가격 형성 후 필요 시 인출(100g/1kg, VAT 10% + 수수료).
6 자주 받는 질문(FAQ)
Q. KRX 금시장도 실물로 찾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증권사를 통해 100g/1kg 단위 인출이 가능하고, 이때만 부가세 10% + 인출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Q. 왜 KRX 금시장이 세금이 유리한가요?
A. 장내 매매는 부가세 면제이면서 매매차익 비과세 구조입니다.
장외 실물은 부가세·세공비 등 비용이 큽니다.
Q. 금 ETF는 왜 과세가 붙나요?
A. 대부분 원자재/선물형이라 국내 주식형 ETF의 비과세 혜택 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보유기간 과세 15.4%).
결론: 효율(세금·수수료·안전) = KRX 금시장
금 투자를 세금·수수료·안전성 기준으로 따지면,
답은 KRX 금시장입니다.
주식처럼 편하게 매수·매도하면서 세금 부담은 최소, 필요하면 실물도 인출 가능.
목적별로는 소액 적립은 금 통장, 유동성은 ETF, 실물 보유는 KRX 금시장 인출을 조합하세요.
한 가지를 꼽자면,
가장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은 KRX 금시장입니다.
📌 용어 설명
커스터디 리스크
자산을 직접 보관하지 않고 제3자(은행, 거래소, 보관기관 등)에 맡겼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예를 들어, 보관 기관이 파산하거나 횡령하면 자산 회수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스프레드
매수 가격과 매도 가격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금을 사고팔 때 이 차이만큼 투자자가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스프레드가 좁을수록 유리합니다.
선물 롤오버 비용
만기일이 도래한 선물 계약을 다음 만기 계약으로 교체할 때 드는 비용. 금 ETF 중 선물형 상품은 이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AXG
Paxos사가 발행한 디지털 금 토큰으로, 1토큰이 실제 금 1온스와 연동되어 있습니다. 블록체인 상에서 금을 보관·송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XAUT
Tether사가 발행한 디지털 금 토큰(정식 명칭은 XAUT, Tether Gold). 1토큰이 실제 금 1온스와 연동되며, 블록체인 상에서 거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