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 김치 프리미엄 계산법:KRW-USDT 가격과 환율로 1분 만에 끝내기

업비트에서 김치 프리미엄 계산하는 방법,

이렇게 하면 쉽다!


요즘 코인 투자하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거예요. 

바로 김치 프리미엄(김프)이라는 말! 

그런데 막상 “김프가 몇 %인지” 직접 계산하려면 헷갈리신 적 있으시죠? 


오늘은 업비트 사용자 기준으로 김프를 계산하는 방법을 쉽고 친근하게 알려드릴게요.



김치 프리미엄(김프)이란?

김치 프리미엄은 한국 거래소(업비트, 빗썸 등)에서 코인 가격이 해외 거래소보다 비싸게 형성되는 현상을 말해요. 주로 원화(KRW) 마켓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김치 프리미엄”이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해외(바이낸스)에서 비트코인이 60,000달러인데, 업비트에서는 83,000,000원이라면? 원/달러 환율로 계산했을 때 차이가 나게 되죠. 이게 바로 김프예요.



김프 계산 공식

공식은 아주 간단해요 👇

김치 프리미엄(%) = (KRW 마켓 가격 ÷ (USDT 마켓 가격 × 환율) - 1) × 100
  • KRW 마켓 가격 : 업비트 원화 마켓 BTC 가격
  • USDT 마켓 가격 : 업비트 USDT 마켓 BTC 가격(또는 바이낸스)
  • 환율 : 현재 원/달러 환율(네이버 환율 검색)


    계산기와 지폐, 메모장에 적힌 김프 계산식

계산 예시

  • 업비트 BTC/KRW = 83,000,000원
  • 업비트 BTC/USDT = 60,000 USDT
  • 환율 = 1,300원

👉 해외 기준 가격 = 60,000 × 1,300 = 78,000,000원
👉 김프 = (83,000,000 ÷ 78,000,000 - 1) × 100 = 6.4%

즉, 현재 한국에서 비트코인을 사면 해외보다 약 6% 비싸게 주고 사는 셈이죠.


원화 거래소와 달러 거래소 시세를 비교하는 투자자


왜 김프를 확인해야 할까?

  1. 시장 분위기 파악 — 김프가 높으면 한국 투자자들이 열광하고 있다는 신호.

  2. 해외 시세와 비교 — 국내 가격이 비싼지, 싼지 바로 확인 가능.

  3. 투자 전략 참고 — 직접 차익거래는 어렵지만, 매수·매도 타이밍을 판단하는 지표가 될 수 있음.


    업비트 앱에서 비트코인 가격을 확인하는 여성

빠르게 확인하는 팁

  1. 업비트 앱에서 BTC 원화 마켓(KRW) 가격 확인

  2. 같은 앱에서 BTC USDT 마켓 가격 확인

  3. 네이버에서 환율(달러/원) 확인

  4. 계산기에 공식 넣기

👉 몇 번만 해보면 금방 익숙해져요.


김프 활용 포인트

  • 김프가 +5% 이상 → 국내 가격이 해외보다 비쌉니다.
    이론적으로는 해외에서 사서 한국에서 팔면 차익을 남길 수 있지만, 일반 투자자에게는 환치기 및 송금 규제 때문에 실전에서 아비트라지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 김프가 0% 부근 → 한국과 해외 시세가 거의 동일합니다.
    이럴 때는 글로벌 시세와 크게 차이 없이 매매할 수 있어요.

  • 김프가 음수(디스카운트) → 드물지만 국내가 해외보다 더 쌀 때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투자자 심리가 위축되었거나 국내 매도 물량이 몰린 상황에서 나타나요.

📌 김프 높아도 개인 차익거래가 어려운 이유

한 줄 결론: 김프가 5~10%라도 이동 시간·수수료·규제(환치기 위험) 때문에 개인이 안전하게 먹기 어렵습니다. 그러니 지표로 참고만 하세요.

1) 이론상 흐름(아비트라지)

  1. 해외 거래소에서 BTC/USDT 싸게 매수
  2. 코인을 국내 거래소(업비트 등)로 전송
  3. 국내에서 KRW로 비싸게 매도
  4. 원화 출금

숫자만 보면 쉬워 보이지만, 현실 장벽이 큽니다.

2) 현실의 장벽

  • 원화→해외 자금이동: 해외 거래소 송금이 어렵거나 제한적(서류·심사·시간 지연).
  • 전송 대기 중 변동성: 블록체인 확인 지연(수십 분~수 시간) 동안 가격·김프 변화.
  • 수수료·슬리피지: 매수/매도/출금 수수료와 호가 간격으로 1~2% 금방 소진.
  • 입출금 제약(트래블룰): 화이트리스트 외 지갑/거래소는 입출금 제한, 점검/중단 이슈.
  • 원화 회수·계정 리스크: 잦은 고액 입출금은 모니터링·소명·한도 축소·일시 제한 가능.

3) 환치기가 왜 위험한가?

환치기는 금융기관 절차 없이 해외로 자금을 빼거나 들여오는 불법 외환거래입니다. 법 위반 소지로 자금동결·형사처벌 위험이 큽니다. 합법적인 은행·거래소 루트만 이용해야 합니다.

4) 숫자로 보는 사례

시점 A 김프 +6% → 해외 매수(수수료 0.1%) 후 전송 대기 40분 → 그 사이 가격 -2%, 김프 축소 → 업비트 매도(수수료+스프레드 0.3~0.6%) → 실질 이익 0% 내외 혹은 마이너스가 되기 쉽습니다.

5) 누가 가능할까?

기관·OTC·전문 트레이더가 합법 루트·대량·고속 인프라·헤지(선물/차입)를 갖추고 리스크 관리하며 시도합니다. 개인이 동일 조건을 갖추기 어렵습니다.

6) 개인 투자자의 현실적 활용법

  • 지표로 활용: 김프 상승=국내 과열 신호, 하락/음수=심리 위축/해외 대비 약세 신호.
  • 보조지표: 매수·매도 판단에 보조로만 사용(단독 근거 금지).
  • 환율 동시 체크: KRW/USD 급변 시 김프 왜곡 가능.

7) 안전한 대안

  • 김프 알림: 임계값(+5%·0% 등) 도달 시 관심/주의 신호로만 활용.
  • 규칙 기반 리밸런싱: 과열(김프 높음) 구간 추가 매수 자제, 평온/음수 구간 분할 매수 고려.

정리

  • 김치 프리미엄은 한국과 해외 가격 차이예요.
  • 공식은 (KRW 가격 ÷ (USDT 가격 × 환율) - 1) × 100.
  • 업비트 KRW 마켓 + USDT 마켓 + 환율만 있으면 누구나 계산 가능!

📌 오늘 알려드린 방법으로 직접 계산해 보시면, 뉴스에서 “김프가 몇 %다!” 하는 말이 왜 중요한지 훨씬 이해가 잘 되실 거예요.



📖 용어 설명

  • 트래블룰 (Travel Rule)
    국제 자금세탁방지 규정으로, 가상자산을 거래소 간 송금할 때 송·수신자 정보(이름, 지갑 주소 등)를 함께 전송해야 하는 규칙입니다.
    쉽게 말해, “코인 송금에도 송금인·수취인 정보가 따라가야 한다”는 법적 의무입니다.
  • 화이트리스트 (Whitelist)
    거래소에서 사전에 등록·승인된 지갑 주소만 입출금을 허용하는 제도입니다.
    보안을 위해, 등록되지 않은 외부 지갑으로는 코인을 보낼 수 없습니다.
  • 스프레드 (Spread)
    매수호가와 매도호가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예: BTC 매수 83,000,000원, 매도 83,200,000원이라면 → 스프레드 = 200,000원.
    거래 시 이 차이만큼 불리하게 시작하는 셈이라, 거래 비용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슬리피지 (Slippage)
    주문을 넣을 때 기대한 가격과 실제 체결된 가격이 다른 현상입니다.
    주로 거래량이 적거나 변동성이 큰 코인에서 발생합니다.
    예: “83,000,000원에 매수” 주문했는데 실제로는 83,200,000원에 체결되는 경우.

 

👉 안내: 본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불법 외환거래(환치기)는 법적 처벌 대상입니다. 모든 거래는 합법적인 금융기관·거래소 절차를 통해 진행하고, 세무·신고 의무를 준수하시기 바랍니다. 수수료·슬리피지·입출금 지연으로 실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댓글